[MAC] 맥북에 brew 설치하기
오늘은 맥북에 brew 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brew는 홈브류 (HomeBrew)의 약자로,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위키)
맥북 / 아이맥 즉, OSX에서 말하는 brew는 루비와 Git으로 개발된 macOS용 패키지 매니저로, 주 목적은
"macOS에서 필요하지만 APPLE사에서 제공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설치"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장점이라면 수많은 오픈소스 개발자들이 Github를 기반으로 꾸준히 실시간으로 커밋(Commit)/ 업데이트(Update)를 진행하고 있으며 양식에 맞는 명령어를 구성하여 입력해 엔터만 치면 알아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하고 편합니다.
단점이라면, brew는 BSD 포트 방식 즉, 설치를 위한 인스톨러 파일을 받는게 아니라, 설치에 필요한 모든 재료 파일을 하나하나 모두 다운받아서 자체적으로 컴파일 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설치와 비교했을때 시간이 더 많이 걸릴 수 있고, 거대한 프로그램을 설치 할 수록 채감시간이 상당해집니다.
brew의 설치
맥용 home-brew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면 어떻게 설치를 하면 되는지 간단하게 설명되어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한국어 지원] : https://brew.sh/index_ko
위 사이트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우리의 맥 기기에 설치하려면 터미널을 열어서 저 한줄을 붙여 넣고 엔터를 치면 되겠습니다.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을때의 화면입니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 보고 싶다면,
이런식으로 터미널을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현재 버전을 출력해 봅니다.
brew --version
그리고 앞으로 brew로 어떤 패키지를 설치할 경우,
brew install 패키지 이름
의 형식으로 사용하시면 올바로 설치가 될것입니다.